티스토리 뷰

목차



    부산시는 2025년 전기차 보조금을 대폭 확대하여 최대 81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기존 보조금에 더해 지역할인제 100만 원 추가 지원, 출산 가정 대상 특별 지원까지! 친환경차를 더 저렴하게 구매할 절호의 기회입니다.

     

    아래에서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 지원금액 조회, 신청방법, 제출 서류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지금 확인하고 빠르게 신청하세요! (※ 예산소진 시 조기 마감됩니다.)

     

     

     

     

     

     

     

     

     

    1. 2025 부산 전기차 보조금 신청 안내

     

     

    부산시는 2025년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시민들을 위해 총 5,122대의 전기차 보조금을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은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공고 확인 후 온라인 신청하면 됩니다.

     

     

    보조금은 선착순 지급되므로 서둘러야 합니다. 친환경 전기차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기회, 지금 잡아보세요!

     

     

     

     

     

     

     

     

    1) 신청 방법 및 제출 서류

     

    ◾  신청 사이트: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 구매자가 제작 · 수입사와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자격 부여일로 부터 2개월 이내에 출고·등록이 가능할 경우 구매 지원 신청서를 작성하여 구매지원 신청
    •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원 신청서를 포함한 증빙 자료는 자동차 제작 · 수입사에서 대행하며, 환경부 무공해 구매 보조금 지원시스템  환경부 저공해차 통합누리집으로 제출

     

    제출 서류

     

    • 공통: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신청서, 전기자동차 구매계약서, 지방세납세증명서,
    • 개인: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전입일 확인 가능한 서류)
    • 외국인: 거소사실확인서 또는 외국인 등록증 등(체류기간 2년 이상 확인 가능 서류)

    ※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지원 신청서 등 서류 원본 제출 불필요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구매보조금 지급현황에서 확인 → 지자체 차종별 보조금 → 내가 원하는 지역구 조회(2025년도 전기자동차 부산광역시 모델별 보조금 확인 가능함)

     

     

     

    ※ 2025년 전기자동차 상반기 보급사업에 대한 내용 다운로드 하기

     

     

    2025년 전기자동차 상반기 보급사업(변경) 공고(2025-348).-1차hwp.hwp
    0.84MB

     

     

     

     

     

    2) 전기차 보조금 신청절차

     

    1. 보급사업 공고
    2. 전기자동차 구매계약
    3.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4.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대상자 선정·통보
    5. 차량 출고 및 등록(2개월 이내 원칙)
    6.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신청 접수(출고 · 등록 10일 이내)
    7. 보조금 지급(14일 이내 원칙)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3)  전기차 보조금 기간 

     

    • 사업기간: 2025년 2월 5일 ~ 12월 12일 (※ 예산소진 시까지)
    • 택시. 택배 신청: 2025년 2월 5일 (수) ~ 2025년 9월 30일 (화)
    • 중소기업 생산 전기화물차 신청: 2025년 2월 5일 (수) ~ 2025년 9월 30일 (화)
    • 우선순위 신청: 2025년 2월 5일 (수) ~ 2025년 9월 30일 (화)

     

    ※ 택시, 중소기업, 우선순위 등 집행되지 않은 잔여분은 10월 1일부터 통합 집행

     

     

    4) 보급대상 및 방법

     

    • 보급 대상: 부산광역시에 60일 이상 연속하여 주소를 둔 시민, 법인,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지방공기업(중앙행정기관제외)등
    • 보급 방법: 차량 출고, 등록순에 따라 보조금 지급

     

    차량 가격에 따라 차등 지급되므로, 상세 금액은 구매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승용차: 최대 810만 원

     

    화물차: 최대 1,380만 원

     

    어린이 통학 차량: 최대 1억 2,000만 원

     

    버스: 최대 7,500만 원

     

    구분 전기 승용차 전기 화물차 전기 버스
    중.대형 소형 초소형 소형 경형 초소형 대형 중형
    합계 최대 810 최대 740 정액 330 최대 1,380 최대 1,010 정액 510 최대 7,500 최대 5,350
    국비 최대 530 최대 530 정액 200 최대 770 최대 770 정액 380 최대 7,000 최대 5,000
    시비 최대 210 최대 210 정액 130 최대 240 최대 240 정액 130 최대  500 최대 350

     

     

     

     

     

     

    2025년도 전기승용차 보조금 개편안

     

    ◾ 중. 대형 승용차: 최대 '580만 원 + α

     

    ◾ 소형 승용자: 최대 '530만 원 + α

     

    전기숭요차 보조금 개편안
    성능 보조금
    -중.대형: 최대 300만 원

    -소형: 최대 250만 원

    -초소형: 200만 원 정액

    성능 차등 기준
    -중.대형: 1회 충전 주행거리 400 → 440km로 상향
    440km미만 10km당 차등폭, 6.6 →8.1만 원

    -경.소형: 250 → 280km로 상향
    280km미만 10km당 차등폭, 4.5 → 5.0만 원

    배터리 안전
    -차량정보 수집 장치: 20만 원

    -배터리 상태 정보제공: 20만 원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알림기능 10만 원

    혁신 기술
    V2L(외부로 전력을 내보낼 수 있는 기능) 탑재된 경우 20만 원 지원, 
    고속충전 가능 시 최대 30만 원 지원

    차 기본가격 기준
    -보조금 100%지급: 5,300만 원 미만

    -50%지급: 5,300~8,500만 원 미만 

    -미지급: 8,500만 원 이상

    안전계수 도입
    -차량 제조.수입사가 제조물 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차량(유예기간 6개월) 및 충전량 정보 (SoC)를 제공하지 않는 차량(유예기간 12개월)은 미지급

    인센티브
    -청년(19~34세)이 생애 최초로 전기차 구매시 20% 추가지원

    -자녀수(18세 이하)에 따라 2자녀 100만 원, 3자녀 200만 원, 4자녀 이상 300만 원 추가 지원

    -BMS업데이트 불가능한 전기차 폐차후 전기차 신차 구매 시 20만 원 추가 지원 (~2026년)


     

     

    5) '24년 대비 주요 변경 사항

     

    전기 자동차 보급대수가 총 7,217대로 승용차 5,300, 화물 1,700, 버스 200, 어린이차 17대입니다.

     

     

    구분 신청대상 다자녀 농업인 아이조아 지역할인제
    2025년 부산 60일 거주 만 18세 이하
    2자녀 이상
    국비 10% '24년 이후
    출산 가정
    (최대 150만 원)
    지역 할인제
    (100만 원)
    2024년 부산 90일 거주 만 18세 이하
    1자녀 이상
    - - 지역할인제(100만 원) + 택시, 소상공인 추가(50만 원)

     

     

    6) 전기차 특징

     

    친환경적:

     

    • 주행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CO2나 NOx를 배출하지 않음
    • 엔진 소음이 적고, 진동이 적음

     

    경제적:

     

    • 전기 모니터로만 구동할 경우 운행 비용이 가장 저렴하고, 심야 전기를 이용할 경우 비용을 더 낮출 수 있음
    • 차량 수명이 상대적으로 김

     

    안전성:

     

    • 사고 시 폭발의 위험성이 적음

     

    편의성:

     

    • 심야 전력으로 자택에서 충전 가능
    • 기어를 바꿔줄 필요가 없어 운전 조작이 간편

     

     

    2. 부산 지역할인제

     

     

    부산시는 탄소중립 실현과 시민 부담 완화를 위해 2025년 하반기부터 전국 최초 '전기차 지역할인제를 시행합니다.

     

    • 부산시가 5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을 지원: 최대 50만 원
    • 기존 보조금 외:  100만 원 추가 지원 가능
    • 전기차 제작. 수입사: 최대 50만 원 할인

     

    ※ 전기자동차 지역 할인제에 참여하는 제작. 수입사는 현대자동차, GS 글로벌, 일진정공, 이브이케이엠씨 등 4곳입니다.

     

     

     

     

     

    3. 아이조아 부산조아 보조금

     

     

    부산에서 지난해 1월 이후 아이를 출산한 가정이 전기자동차를 구매하면 최대 15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아이조아 부산조아: 전국 최초로 시행
    • 아이조아 부산조아: 2024년 1월 이후 출산한 가정에 첫째 출산 100만 원, 둘째 이상 출산은 150만 원 지원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 지난해 지역할인제를 통하여 전기차를 구매한 1066명의 시민이 할인 혜택을 받았고, 올해는 지역할인제 지원 차량을 2,000대로 확대해 참여 업체 모집 중입니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전기차 구매 보조금 810만 원 받자!(부산)

    반응형